전세에서 월세로 전환 후 중도해지 시 위약금 계산법 | 보증금·월세 공제 기준 정리

전세에서 월세로 전환 후 중도해지 시 위약금 계산법 | 보증금·월세 공제 기준 정리

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한 뒤 중도해지를 할 경우 위약금 계산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계약 전환 시 새로운 계약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전세 계약 조건이 아닌 월세 기준으로 위약금이 산정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전세→월세 전환 후 위약금 계산법, 보증금·월세 공제 기준, 분쟁을 예방하는 팁을 정리했습니다.


전환 후 위약금 계산 기준

  • 신규 계약으로 간주: 전세 기간은 무효, 월세 계약 체결일 기준 위약금 산정
  • 위약금 공식: 보통 남은 월세 기간 × 월 임대료의 10% 또는 계약서 규정에 따름
  • 보증금 공제: 위약금은 보증금에서 우선 공제 가능

💡 분쟁 예방 및 보증금 보호 팁

  1. 계약 전환 시 새로운 계약서 작성 및 위약금 조항 확인
  2. 계산 방식에 대한 임대인과의 합의 내용을 서면화
  3. 과도한 위약금 요구 시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상담

⚠️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했다면 기존 전세 계약이 유지되지 않으며, 위약금 면제 요구는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